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경제용어/글로벌 주가지수] MSCI, FTSE 지수

경제 공부/경제지표

by 유국 2022. 9. 7. 08:00

본문

 

글로벌 주가지수를 산출하는 기관은 다양한데요.

그중 대표적인 기업인 MSCI, FTS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 세계 금융기관들이 MSCI, FTSE가 분석한 데이터를 활용해 자산을 배분하거나 투자상품을 개발합니다.

또한 이들이 발표한 지수가 전 세계 투자자들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MSCI 지수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모건스탠리의 자회사, 이 회사에서 발표하는 주가지수

글로벌 지수산업에서 가장 큰 점유율(24.8%)

MSCI 지수의 추종 운용자산은 16.3조 달러(약 2.2경), 글로벌 펀드 자산의 30%

MSCI 지수를 추종하는 ETF, 펀드 등의 상품이 많기 때문에 이 지수에 편입되는지에 따라 주가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일 년에 4번 지수를 리밸런싱 합니다.

- 반기(시장 재평가 정기변경) : 매년 5월, 11월

- 분기(반기리뷰 사이 시장 반영) : 매년 2월, 8월

 

MSCI 지수에서 나간 기업이 재편입 검토 대상이 되려면 12개월 소요

 

FTSE 지수(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FTSE Russell이 발표하는 주가지수

글로벌 지수 산업에서 MSCI, S&P Dow Jones Incices, FTSE Russell 3개 회사 중 점유율 19.3%

 

지수 변경일

- 반기 : 매년 3월, 9월

- 분기 : 매년 6월, 12월


 

두 기관은 정기적으로 지수를 구성하는 항목과 항목별 비율 등을 발표합니다.

MSCI, FTSE는 크게 선진국 시장, 신흥국 시장, 프런티어 시장 등으로 나누고 나눈 단위로 지수를 만듭니다.

안정성을 투자하는 투자자들은 MSCI가 '선진 시장'으로 분류한 국가 지수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FTSE에서는 선진국 시장, MSCI에서는 신흥국 시장으로 분류됩니다.

금융 관련 규제(24시간 외화 환전 불가능, 외구인 투자등록제도 등)때문에 MSCI 선진국 시장에 들어가지 못했습니다.

올해 우리나라 MSCI 선진시장 편입이 실패하면서 가장 빨라도 2025년 6월에 편입될 예정입니다.

 

MSCI 한국지수

MSCI 추종 자산 중 한국 관련 자금 규모는 2,880억 달러로 약 392.4조 원입니다.

 

한국 기업 중 삼성 전자가 29%로 비중이 가장 높고 그 뒤로 SK하이닉스, 네이버 등이 있습니다.

산업으로는 IT가 45%로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이번에 SK텔레콤이 MSCI 지수에서 제외됐습니다. 그 이유는 외국인 지분율이 높기 때문입니다.

SK텔레콤이 MSCI 지수에서 나가면서 저절로 빠질 규모는 약 692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출처 : https://www.kcmi.re.kr/publications/pub_detail_view?syear=2022&zcd=002001016&zno=1648&cno=5880 

 

MSCI 지수 추종 운용자산 규모 현황과 영향 | 자본시장포커스 | 발간물 | 자본시장연구원

□ 최근 국내 증시에서 MSCI 정기 리밸런싱을 앞두고 편출입 대상으로 예상되는 종목들의 주가 등락폭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임□ 2010년 이후 글로벌 자산운용시장에서 패시브펀드가 크게 성장하

www.kcmi.re.kr

출처 : https://uppity.co.kr/

 

UPPITY 어피티

MZ 세대를 위한 경제생활 미디어, 어피티

uppity.co.kr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