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활동 동향
각 산업부문별 성적표로 생산, 소비, 투자, 경기로 나눠 동향을 분석
국가 경제 활동 중 실물부문의 동향을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한 통계
매달 말일에 발표한다
생산동향 : 전산업생산지수(농림어업 제외), 광공업생산 및 출하지수, 제조업재고지수,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 도소매업재고액지수
소비동향 : 소매판매액지수
투자동향 : 설비투자지수, 국내기계수주액, 건설기성액, 건설수주액
경기동향 : 동행종합지수, 선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 생산확산지수
2022년 7월 우리나라 산업활동 동향
생산과 소비, 투자가 모두 하락세로 올해 4월 이후 3개월만에 '트리플 감소'
분야별 산업활동 동향
생산 : 전산업생산은 서비스업(숙박, 음식점, 도소매 등)에서 0.3% 증가,
광공업(반도체, 기계장비 등)에서 -1.3%로 전월대비 0.1% 감소
소비 : 소매판매는 화장품, 가전제품 등에서 판매가 줄어 전월대비 0.3% 감소
1995년 이후 처음으로 5개월 연속 감소
3월 -0.7% 4월 -0.3% 5월 -0.1% 6월 -1.0%
투자 :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와 기계류 투자가 모두 줄어 전월대비 3.2% 감소,
건설기성은 토목 공사 실적이 줄어 전월대비 2.5% 감소
경기 :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5p 상승,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3p 하락
"광공업 생산이 조정받으면서 전체 생산이 감소됐고, 소매판매 등 내수 지표들도 감소하는 등
경기 개선 또는 회복 흐름이 다소 주춤한다"고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말했다
또한 "물가 상승에 따라 소비 심리가 다소 위축된 면도 있고 소비가 재화에서 서비스로 옮겨갔다"
[경제용어/글로벌 주가지수] MSCI, FTSE 지수 (0) | 2022.09.07 |
---|---|
경상수지(Current Account Balance) (0) | 2021.12.22 |
GDP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0) | 2021.12.1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