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2.09.01 코스피 종가 : 2,415.61
-전일대비 56.44 하락 (-2.28%)
2) 22.08.31 나스닥 종가 : 11,816.20
-전일 대비 66.94 하락 (-0.56%)
3) 환율 : 1,354.50 (20시 기준)
-매매기준율 전일대비 +10 (+0.74%)
-현찰 살때 1,378.20 현찰 팔 때 1,330.80
-장 마감 기준 1354.9원 기록, 전 거래일 종가 1337.6원보다 +17.3원
종가 기준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이후 13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4) 국내 증시 뉴스
-시멘트 업계, 9월 가격 인상 강행
시멘트사들이 13~14%대 가격 인상안을 강행할 전망이다.
레미콘 업계의 가격 인상 저지선이 뚫린 셈이라 건설업계로 원가 부담 전가가 될 전망이다.
작년 t당 7만5000원대의 시멘트 가격이 9월부터 t당 10만 원대로 인상될 예정이다.
-탈원전 폐기 공식화, 2030년 원전 비중 24~33% 늘린다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30년까지 원자력발전 비중을 전체 전력의 3분의 1로 늘리는 내용을 발표했다.
원전은 늘리는 대신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10% 가까이 줄인다. 석탄발전은 현재의 감축 기조를 유지한다.
원자력발전 비중은 지난 정부가 2021년 10월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통해 발표했던 23.9%에서 32.8%로 확대한다.
-코스피, 코스닥 2%넘게 하락, 외국인 기관 순매도
코스피, 코스닥 지수가 하루 만에 다시 하락세로 전환했다.
코스피 지수는 종가 기준 약 한 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환율에 민감한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을 받았다.
5) 해외 증시 뉴스
-국제유가, 글로벌 수요 감소 우려에 급락
글로벌 경제 침체로 원유 수요가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국제유가가 5% 이상 급락했다.
석유수출국 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 OPEC 산유국 간 협의체인 OPEC플러스의 감산 우려가
완화된 데다 이란 핵합의 복원 임박과 경기 둔화 우려 등이 다시 불거지며 국제유가가 하락했다.
인터내셔널 트윗에서 미국과 이란이 핵합의 복원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고 전해져
이란산 원유 공급 기대를 높이며 유가 하락에 힘을 실었다.
-미국 정부, 엔비디아 AMD에 AI용 반도체 중국 수출 중단 통보
조 바이든 미국 정부가 미국 반도체 대기업인 엔비디아와 AMD에 AI용 최첨단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중단하라고 통보했다.
중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규제 및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엔비디아와 AMD의 반도체가 없으면 중국 기업들은 AI 특히 이미지, 음성 인식 등의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을 것이라고 로이터는 전망했다.
-슈퍼 버블, 아직 터지지 않았다
월가의 제러미 그랜섬 GMO 회장이 주식시장의 슈퍼 버블이 아직 터지지 않았다고 경고했다.
하반기에는 펀더멘털 악화가 주요 문제로 떠오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과거에도 슈퍼 버블이 터지기 전 주식시장은 손실의 절반 이상을 회복해 투자자를 유혹한 뒤 하락세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그랜섬 회장은 시장의 거품을 정확히 예측하는 투자자로 유명한데 올초 S&P500지수가 50%가량 폭락할 것이라고 경고한 적이 있다.
6) 가상 자산 21시 기준
-비트코인 20,083.3달러 , 232.2하락 (-1.14%)
-이더리움 1,580.40달러, 16.37하락 (-1.03%)
-비트코인 박스권 유지
금리 인상 이슈로 인해 미국 증시는 하락세를 지속 중이지만 코인 시장은 박스권 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25일 연준의 금리인상 의지에 영향을 받아 주말 한때 10% 안팎 하락세를 기록하기도 했다.
-9월에 약한 비트코인, 5년 징크스 깰 것인가
비트코인은 지난 2017년부터 5년 연속 하락 마감하며 9월에 약하다는 징크스를 가졌다.
최근까지도 미국 증시 추세와 유사하게 움직이고 있는 비트코인은 거시 경제 상황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 내내 하락 마감했다.
(월봉 기준 2017년 7.91%, 2018년 5.49%, 2019년 13.54%, 2020년 7.49%, 2021년 9월 6.94% 하락 마감)
7) 공모주
9월 첫째주 공모주 일정
-하나금융 스펙 23호
: 금융 지원 서비스업/ 청약일 9/1~2,
환불일 9/6, 상장일 9/15,
희망공모가 2,000원, 하나금융투자 100% (청약수수료 2,000)
-9/1 키움 스펙 7호 환불일
9월 둘째 주 공모주 일정
-9/7 키움 스펙 7호 상장일 (청약경쟁률 214.42:1)
9월 셋째 주 공모주 일정
-KB스펙 22호
: 금융 지원 서비스업/ 청약일 9/13~14,
환불일 9/16, 상장일 -,
희망공모가 2,000원, KB증권 100% (청약수수료 1,500)
-선바이오
: 의약품 제조업/ 청약일 9/13~14,
환불일 9/16, 상장일 -,
희망공모가 14,000~16,000원, 하나금융투자 100% (청약수수료 2,000)
8) 지출
-
9) 수입
-
10) 매매일지
-
22.09.06 재테크일기 "외환보유액 감소 및 환율 폭등" (0) | 2022.09.06 |
---|---|
22.09.02 재테크 일기 "환율 13년 만에 1360원 돌파" (0) | 2022.09.02 |
22.08.31 재테크 일기 "코스피 상승, 환율 하락" (2) | 2022.08.31 |
22.08.30 재테크 일기 첫 시작 (0) | 2022.08.30 |
댓글 영역